Page 14 - 건축구조 Vol. 29 / No. 03
P. 14
특 집
특 집 0 2
항목 KDS 41 10 15 : 2016 KDS 41 10 15 : 2022 근거 / 사유
① 벽면 ① 벽면
외압계수 C pe 외압계수 C pe
D/B C pe 풍상벽 끝단으로부터의
D/B C pe
모든 값 0.8k z +0.03(D/B) 수평거리()
풍상벽 C pe1 측벽의 경우 풍상벽 단부로부터의
≤ 1 -0.5 풍상벽 ≤ 1 - 0.8k z
풍하벽 C pe2 0.8 > 1 - 0.8k z + 0.05 수평거리가 멀어질수록 풍압의 크
> 1 -0.5+0.25ln(D/B) C pe1 기가 감소함. 이를 반영함
측벽 모든 값 -0.7 풍하벽 ≤ 1 - -0.5
> 1 - -0.35
주) B : 건축물의 대표폭(m), D : 건축물의 깊이(m), C pe : 외압계수 C pe2
모든 값 <1H -0.7
측벽
모든 값 1H ≤ <3H -0.5
높이방향 압력분포계수 k z
C pe 지표부근 접지기층에서서는 마찰
z b < z < 0.8H z ≥ 0.8H, z b ≥ 0.8H 모든 값 3H ≤ -0.3
z ≤ z b 로 인해 풍속변동이 심해 풍속이
(z b /H) 2 (z/H) 2 0.8 2 k z 는 높이방향압력분포계수로 아래 표로 주어진다.
극단적으로 크고, 작아질 수 있음.
주) H : 건축물의 기준높이(m), z : 지표면에서의 높이(m) 풍압이 과소평가되는 것을 방지하
z b :대기경계층시작높이(m)로 표 5.5-4에 의해 정함 높이방향 압력분포계수 k z 기 위해 접지기층에서는 높이방향
0.2
:풍속고도분포지수로 표 5.5-4에 의해 정함 H ≤ z b z ≤ z b z b < z < 0.8H z ≥ 0.8H 으로 압력이 일정한 최소값 0.8
1.0 (z b /H) 2 (z/H) 2 0.8 2 ≈ 1.0을 갖도록 수정함.
기호] z : 지표면에서의 높이(m)
z b :대기경계층시작높이(m)로 표 5.5-3에 의해 정함
:풍속고도분포지수로 표 5.5-3에 의해 정함
② 지붕면 ② 지붕면
평지붕 외압계수 C pe , θ<10°인 용마루직각방향 및 모든 경사각의 평지붕, θ<10°인 용마루직각방향 및 모든 경사각의 용마루방향의
용마루방향 지붕면 외압계수 C pe
풍상지붕 끝단으로부터의 H/D≤0.5 H/D≥1.0 풍상지붕 끝단으로부터의 H/D ≤ 0.5 H/D ≥ 1.0
수평거리 수평거리
0 ~ 0.5H -0.9, -0.4 -1.3k a , -0.6 0 ~ 0.5H -0.9, -0.4 -1.3k a , -0.6
0.5H ~ 1H -0.9, -0.4 -0.7, -0.3 0.5H ~ 1H -0.9, -0.4 -0.7, -0.3
1H ~ 2H -0.5, 0.0* 1H ~ 2H -0.5, 0.0*
2H ~ 3H -0.3, 0.1 (-0.7, -0.3)* 2H ~ 3H -0.3, 0.1 (-0.7, -0.3)* [수정] 오타 수정 0.08을 0.8
> 3H -0.2, 0.2 > 3H -0.2, 0.2
풍상지붕면 외압계수 C pe , θ≥10°인 용마루직각방향 θ≥10°인 용마루직각방향의 풍상지붕면 외압계수 C pe
지붕경사각 θ° 지붕경사각 θ°
H/D H/D
10 15 20 25 30 35 45 ≥ 10 15 20 25 30 35 45 ≥ 추가] 지붕골조의 풍압 부담수압
-0.7 -0.5 -0.3 -0.2 -0.2 0.0 -0.7 -0.5 -0.3 -0.2 -0.2 0.0* 면적이 넓어지면, 변동풍압의 상관
≤ 0.25 ≤ 0.25
-0.3 0.0 0.2 0.3 0.4 0.5 -0.3 0.0* 0.2 0.3 0.4 0.5 이 작아져 난류의 고진동수 성분
-0.9 -0.7 -0.4 -0.3 -0.2 -0.2 0.0 -0.9 -0.7 -0.4 -0.3 -0.2 -0.2 0.0* 은 서로 상쇄되고, 저진동수 성분
0.5 0.5
-0.4 -0.3 0.0* 0.2 0.3 0.4 0.08sinθ -0.4 -0.3 0.0* 0.2 0.3 0.4 0.8sinθ 으로 인한 변동풍압만이 주로 남
-1.3 -1.0, -0.7 -0.5 -0.3 -0.2 -1.3k a -1.0, -0.7 -0.5 -0.3 -0.2 기 때문에 풍압이 작아짐. 이를 반
≥ 1.0 ≥ 1.0
-0.6 -0.5 -0.3 0.0 0.2 0.3 -0.6 -0.5 -0.3 0.0* 0.2 0.3 영하여 면적감소계수 k a 를 도입함
주) (1) 표에서 주어진 θ 및 H/D의 중간 값은 직선보간하여 사용할 수 있다. * 값은 보간을 목적으로 사용한다.
직선보간은 동일한 부호 값에 대서만 할 수 있다. k a 는 면적감소계수로 아래 표에 주어진 것처럼 면적에 따라 선형적으로
(2) 설계 시에는 표에서 주어진 2종류의 외압계수와 <표 0305.7.3>의 감소하고, 중간 값은 직선보간하여 사용할 수 있다.
내압계수를 함께 고려하여 가장 불리한 것을 선택한다.
(3) D:건물의 깊이, 풍방향 길이(m) 면적감소계수 k a
H:지붕면 평균높이(m) 유효수압면적(m ) 2 면적감소계수
θ:지붕경사각(°)
≤ 10 1.0
25 0.9
≥ 100 0.8
12 건 축 구 조 2022 _ 05 _ 06 제29권 / 제03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