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9 - 건축구조 Vol. 29 / No. 03
P. 9

KDS 41 10 15 : 건축구조기준 설계하중 - 5. 풍하중(가칭 KDS 2022)의 신구 조문 비교 (2)


                                                                                                    Special Report  _   02





                         특 집  0 2




                KDS 41 10 15 : 건축구조기준 설계하중



                5. 풍하중(가칭 KDS 2022)의 신구 조문 비교 (2)

















                | 하 영 철 |
                KDS 풍하중 대표위원
                금오공과대학교 교수








             현행 풍하중기준인 「KDS 41 10 15: 2016 건축구조기준 설계하중 - 5.         이에 필자는 구조엔지니어들의 이해를 돕고자 KDS 41 10 15 : 2016과
            풍하중(KDS 2016)」의 개정 작업이 2017년 이후 3년간 진행되었다. 1차 개       개정 풍하중 고시안의 조항을 비교하고 수정, 추가, 신설된 사유와 근거를
            정(안)은 2020년 3월에, 2차 개정안은 2020년 9월에 완성되었다.             표로 제시하였다.
             1차 개정(안)은 2019년 4월~7월, 2019년 10월~11월 동안 2회 (사)한국       풍하중기준 전체를 상세하게 비교하다 보니 분량이 많습니다. 처음부터
            건축구조기술사회에서, 2019년 12월 (사)대한건축학회 기술표준위원회에              끝까지 다 보겠다고 생각하지 마시고 관심 있는 내용부터 시간을 두고 읽
            서 수회 검증하였고, 2차 개정(안)은 2020년 5월과 2020년 6월 2회 국가        어 보시기를 권합니다. 참고로, 표에서 언더라인(___) 부분이 개정된 내용
            건설기준센터 건축기준위원회의 심의를 받은 후 지적사항을 반영하여 수                 입니다.
            정하였다.                                                   KDS 풍하중기준의 개정, 검증의 경과와 주요변경 내용의 요약과 향후
             최종안은 2020년 12월 국토교통부 중앙건설심의위원회 소위원회의 심               기대효과에 대해서는 「건축구조 2021년 3/4호」에 이미 소개하였으니 참고
            의에서 「조건부 채택」으로 가결되었고, 조건에 대한 수정사항을 중앙건설               하시기 바랍니다.
            심의위원들로부터 확인받은 후, 최종본(가칭 KDS 2022)을 2021년 7월 국
            토교통부에 제출하였다. 고시 날짜는 알 수 없지만 향후 행정절차에 따라
            고시될 것이다.
             그러나, 고시안이 확정되었으므로 구조엔지니어들이 개정된 풍하중기
            준의 주요내용을 사전에 숙지하여 익혀 둘 필요가 있을 것이다. 개정안을
            가장 빨리 이해할 수 있는 방법은 신구 조문을 비교 숙지하고, 개정한 이유
            와 근거를 파악하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한국건축구조기술사회지      Journal of  The Korea  Structural  Engineers Association  7
   4   5   6   7   8   9   10   11   12   13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