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1 - 건축구조 Vol. 29 / No. 03
P. 11
KDS 41 10 15 : 건축구조기준 설계하중 - 5. 풍하중(가칭 KDS 2022)의 신구 조문 비교 (2)
Special Report _ 02
항목 KDS 41 10 15 : 2016 KDS 41 10 15 : 2022 근거 / 사유
D : 풍방향진동모드보정계수
M : 건축구조물의 지상부 총질량 (kg)
*
M : 건축구조물의 풍방향1차진동일반화질량 (kg)
*
M/[(2+)M ]: 풍방향 전도모멘트 및 일반화질량의 진동모드
차이에 따른 보정계수
: 풍방향 일반화변동풍력의 진동모드의 차이에 따른 보정
계수
m(z): 높이 z에서 단위높이당 질량 (kg/m)
(z): 건축물의 진동모드
: 1차진동모드 1 = (z/H) 의 연직분포형상지수, 는 건축
구조물의 자유진동해석에서 구한 모드형상으로부터 산정
함. 모드형상을 알 수 없는 경우에는 이 기준에서 제시한
값을 사용할 수 있다.
D :건축물의 풍방향1차감쇠비 D :건축구조물의 풍방향1차감쇠비
S D :규모계수 S D :규모계수 (그림 5.6-3)
F D :풍방향풍력스펙트럼계수 F D :풍방향풍력스펙트럼계수 (그림 5.6-4)
n D :건축물의 풍방향1차고유진동수 (Hz) n D :건축구조물의 풍방향1차고유진동수(Hz)
Z g :기준경도풍높이 (m) (5.5.3에 따른다) Z g :기준경도풍높이 (m) (표 5.5-3에 따른다)
V H :설계풍속 (m/s) (5.5.1에 따른다) V H :설계풍속 (m/s) (5.5.1에 따른다)
[신설] 가스트영향계수 G D 를 산정
할 때 필요한 변수들인 피크팩터,
비공진계수, 규모계수, 풍력스펙트
럼계수가 건축물의 규모 무차원진
동수에 따라 변하는 경향을 정량
적으로 확인 할 수 있도록 그래프
를 제시함.
그림 5.6-1 피크팩터 g D
그림 5.6-2 비공진계수 B D
그림 5.6-3 규모계수 S D
한국건축구조기술사회지 Journal of The Korea Structural Engineers Association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