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7 - 건축구조 Vol. 29 / No. 03
P. 17
KDS 41 10 15 : 건축구조기준 설계하중 - 5. 풍하중(가칭 KDS 2022)의 신구 조문 비교 (2)
Special Report _ 02
항목 KDS 41 10 15 : 2016 KDS 41 10 15 : 2022 근거 / 사유
(5) B:벽체·간판의 수평길이(m) 기호] B:벽체·간판의 수평길이(m) 그림 이해를 수월하게 하기 위해
h:벽체·간판의 높이(m) h:벽체·간판의 높이(m) 그림 안의 수치의 정의인 주(5)를
s:벽체·간판의 수직길이(m) s:벽체·간판의 수직길이(m) 그림 끝으로 이동함
:전면적과 밀폐형벽체·간판 면적의 비율 :전면적과 밀폐형벽체·간판 면적의 비율
Lr : 모서리가 ㄱ자형 벽체일 때 짧은 벽의 수평길이(m)
(6) 굴뚝, 탱크 옥상설비 및 이와 유사한 구조물 (6) 굴뚝, 탱크 옥상설비 및 이와 유사한 건축구조물 [신설] 건축구조물 옥상에 설치하
굴뚝, 탱크, 옥상설비 및 이와 유사한 구조물의 주골조설계용 풍력계 굴뚝, 탱크, 옥상설비 및 이와 유사한 건축구조물의 주골조설계용 풍 는 교회첨탑 같은 구조물의 풍력
수 C D 는 표 5.7-11에 따른다. 단면의 형태, 표면조건 및 단면 최소치 력계수 C D 는 표 5.7-11에 따른다. 단면의 형태, 표면조건 및 단면 최 계수를 풍동실험결과에 의거 제시
수에 대한 높이의 비에 따라 적용한다. 소치수에 대한 높이의 비에 따라 적용한다. 옥상 위에 설치한 팔각뿔 함.
형태 첨탑구조물의 풍력계수 C D 는 표 5.7-12에 따른다.
표 5.7-12 팔각뿔 형태 첨탑건축구조물의 풍력계수
단면 표면 C D
형태 조건 h/ < 4 4 ≤ h/A f < 15 h/A f ≥ 15
팔각뿔 모든 경우 1.0 1.1 1.2
기호] h:건축구조물의 높이(m)
A f :첨탑건축구조물의 바닥면적(m ) 2
5.8.1 없음 5.8.1 피크외압계수
(8) 필로티 [신설] 필로티에 대한 최근의 연구
필로티의 외장재설계용 피크외압계수 는 그림 5.8-1에 따른다. 결과를 채용함
(강풍 시 빈번하게 발생하는 필로
티 파손을 방지)
천정 측벽 천정
H : 필로티의 층고 H : 필로티의 층고
(a) 관통형(양측벽이 있는 경우) (b) 개방형(사면이 개방됨)
그림 5.8-1 필로티의 피크외압계수
5.8.2 5.8.2 피크내압계수 5.8.2 피크내압계수
외장재설계용 피크내압계수 는 개구부의 크기에 따라 표 5.8-4에 벽 및 지붕의 외장재설계용 피크내압계수 는 개구부의 크기에 따 [수정 및 추가] 최근의 연구결과와
따라 정한다. 라 표 5.8-9에 따라 정한다. 단, 벽 또는 지붕 각 표면에서의 개구부 이론식에 근거하여 실내압계수를
면적의 합이 그 표면면적의 30%를 초과할 경우에는 표 5.8-9에 주 수정함.
어진 값을 적용할 수 없다. 지붕 없이 윗면이 개방된 수직 원
형 파이프형 구조물의 피크내압계
수 추가함
밀폐의 분류를 정량적으로 제시함
한국건축구조기술사회지 Journal of The Korea Structural Engineers Association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