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2 - 건축구조 Vol. 29 / No. 03
P. 22

특 집








                   특 집  0 3



           인하여, 인접 건축물도 위험해질 수 있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각              Jack Supporting 공법은 기존 건물을 존치한 상태에서 아래 사진과 같
           별히 주의해야 합니다.                                          이 전층 Jack Supporting을 실시하고, 상부층에서 하부층으로 철거를 진
            본 원고에서 소개되는 『센터포인트 강남개발사업』의 경우 역시 인접건                행해 나가는 공법입니다. 본 공법은 비교적 경제적이고 공기가 빠르다고
           물이 매우 밀집되어 있는 곳의 현장으로, 지하굴토 시 인접건물에의 영향               알려져 있으나, 철거순서의 결정 및 보강검토의 난이도가 상당히 높습니
           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기존구조물을 활용한 Top-Down 공법을 적용하여             다. 또한 Jack Supporting 의 상하층 맞춤, 수직도 맞춤, 상하단 고정 등이
           지하철거를 계획하였습니다.                                        쉽지않아 시공 중의 공사관리가 상당히 어렵습니다. 따라서, 지하 해체공
                                                                 법을 선정할 때는 시공사의 수준 및 인접건물의 상태에 따라 상기 어떤 공
           2. 지하해체 공법의 종류                                        법을 적용할지를 신중하게 선택하여야 합니다.
            지하해체 공법은 크게 흙채움 공법과 Jack Supporting 공법으로 나누
           어 볼 수 있습니다.















                   흙채움 공법                  Jack Supporting 공법


            흙채움 공법의 경우 아래 그림과 같이 건물의 일부를 철거하고, 흙을 지
           표까지 되메워 정상적인 흙막이 및 터파기 공사를 실시하는 공법입니다.                3. 『센터포인트 강남개발사업』 현장 주변건물의 상황과 적용공법
                                                                  앞서 개요에 표시된 도면상, 본 현장 주변에는 상당히 많은 건물들이 밀
                                                                 집하여 위치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인접건물들을 살펴볼 때 주의해서 봐야
                                                                 하는 것은, 건물의 굴착경계와의 이격거리와 지하 깊이 그리고, 건물의 사
                                                                 용연수에 따른 노후도입니다.
                                                                  본 현장에 인접하여 위치한 건물들의 경우 사용연수 40년가량 된 건물
                                                                 들도 있고, 전반적으로 30년이 넘는 노후 건물들이며, 지하 깊이 역시 지
                                                                 하 1층~3층 정도로 전반적으로 본 현장의 굴토깊이 보다 낮은 지하층을
                                                                 가지고 있는 건물들이므로 현장의 철거 진동 및 굴토에 따른 지반 변위에
                                                                 영향을 많이 받을 것으로 예상되었습니다. 따라서, 본 건물에 적용되는 지
                                                                 하 철거 공법은 인접건물에의 영향이 비교적 작은 역타철거 공법이 바람직
            본 공법의 경우 지하외벽 등을 존치한 상태에서 되메움을 실시하기 때                할 것으로 검토되었습니다.
           문에, 굴토철거 시 외벽철거에 따른 진동 및 인접지반 침하의 우려가 있습               이에 따라 전반적인 공정순서는 크게 다음과 같이 고려되었습니다.
           니다. 또한 되메움 후 다시 굴토철거를 하게 되면, 콘크리트 폐기물과 흙               ① Jack Support 보강 (전층)
           이 섞여서 특수폐기물화 되기 때문에 공사비의 증대 요인이 됩니다. 또한                ② 1층 바닥 보양용 슬래브 배근 및 콘크리트 타설 (장비탑재고려)
           1차철거 → 토사되메움 → 굴토철거 등 반복공정이 발생하기 때문에 비교                ③ 1층 바닥에서 CIP 및 PRD 기둥 설치
           적 긴 공기가 소요됩니다.                                         ④ 지하층 순차적 철거 ( 흙막이 → 철거 → 신설골조 설치 : 반복)



           20    건 축 구 조    2022 _ 05 _ 06   제29권 / 제03호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