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3 - 건축구조 Vol. 29 / No. 03
P. 23
『센터포인트 강남개발사업』을 통해 본 도심지 지하층의 해체계획 사례
Special Report _ 03
4. 도심지 지하 혜체계획의 주요 고려사항
앞서 개요에 표시된 도면상, 본 현장 주변에는 상당히 많은 건물들
Jack Supporting 계획, 장비탑재를 고려한 1층 바닥 보양(t=300mm 콘
크리트 슬래브) 등의 검토는 장비의 수직하중 및 충격하중 등에 따른 일반
적인 구조검토 과정이므로, 본 원고에서는 자세한 내용을 생략하였으나,
검토 시 주요한 고려사항들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습니다.
1) 장비운용계획
본 공법의 공사기간, 공사비용 그리고 안전성과 관련한 주요 관리 포인
트는 Jack Support의 수량과 시공 중 관리입니다. Jack Support의 수량과
관련해서는 사용 장비의 하중, 건물의 층고 등이 밀접하게 관련이 있습니
다. 따라서 장비의 운용계획 즉 장비의 조합과 배치, 이동 동선 등의 사전
계획이 매우 중요합니다. 특히 본 현장과 같이 지상 1층에서 흙막이용 CIP
및 PRD Pile을 선시공하는 경우 거대장비의 탑재 및 이동에 의해 Jack
Support의 수량이 결정되므로, 매우 신중한 고려가 필요합니다. 시공적으
로 어느 정도 불편함은 있을 수 있으나, 보다 상세한 동선계획을 고려할수
록 받쳐야 하는 Jack Support의 개수가 줄어들 수 있다는 점을 잘 생각해
봐야 합니다. 본 현장의 경우 시공기간이 짧을수록 유리하다는 점을 고려
건물 이격거리(m) 하여, Jack Support의 개수보다는, 시공의 편리성에 가중치를 두어, 지상
층수
(지상/지하) 높이 구조 연면적 준공일자 굴착 대지 1층 전 바닥에 장비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고려하여, 기본적인 장
(m) 경계 경계
비세트와 장비 간의 거리만을 제한하였습니다.
20/6 80.9 철근콘크리트구조 34,889.28㎡ 1996/03/28 36.86 35.08
14/3 39.60 철근콘크리트구조 9,836.18㎡ 1991/07/12 7.76 6.02
14/3 39.60 철근콘크리트구조 9,523.01㎡ 1986/05/08 7.72 6.72
20/5 79.05 철근콘크리트구조 41,365.12㎡ 1985/12/07 27.85 26.88
3/1 15.35 철근콘크리트구조 1,210.18㎡ 1995/05/22 39.92 38.08
5/1 16.50 철근콘크리트구조 990.40㎡ 1992/11/04 3.78 1.93
14/3 39.60 철근콘크리트구조 7,643.59㎡ 2004/02/14 29.05 28.22
6/2 24.90 철근콘크리트구조 1,998.01㎡ 2009/02/10 42.07 40.15
5/2 - 벽돌구조 2,164.53㎡ 1989/01/18 3.21 1.31
4/1 11.80 철근콘크리트구조 980.76㎡ 1984/06/05 21.60 20.73
4/1 14.90 철근콘크리트구조 1,207.80㎡ 1988/10/17 38.30 37.43
5/1 17.60 철근콘크리트구조 1,995.91㎡ 1994/06/30 48.01 46.01
14/1 36.6 철근콘크리트구조 1,999.92㎡ 2019/05/10 44.92 42.75
17/1 44.9 철근콘크리트구조 46,844.21㎡ 2004/05/25 4.29 3.38
10/3 34.90 일반철골구조 3,722.58㎡ 2005/04/27 22.43 21.52
3/1 11.45 철근콘크리트구조 399.95㎡ 1993/05/04 45.69 44.78
7/1 26.18 철근콘크리트구조 1,999.41㎡ 1987/01/28 23.69 22.61
8/1 32.15 철근콘크리트구조 1,999.01㎡ 2015/02/13 42.82 41.81 2) Jack Supporting 검토
3/1 12.00 철근콘크리트구조 949.44㎡ 1993/12/14 53.81 52.62 지상 1층에 자유롭게 PRD 및 CIP 장비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함에 따
10/4 38.10 철근콘크리트구조 9,557.78㎡ 1988/12/30 60.92 59.74 라, Jack Support의 개수가 다소 많아졌습니다. 게다가 본 현장 기존건물
0/2 - 철근콘크리트구조 - 1982/12/23 - -
지하층의 경우 층고가 높은 부분이 많아, 개수가 더욱 늘어났습니다. Jack
한국건축구조기술사회지 Journal of The Korea Structural Engineers Association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