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8 - 건축구조 Vol. 29 / No. 03
P. 28

특 집








                   특 집  0 3







































           [ 기존건물과 신축건물 간섭 시의 보강 ]                               [ Raker와 기존건물의 정착 Detail]



           5. 에필로그                                               꼼꼼히 살펴봐 주셔서, 보다 안전한 해체가 되도록 애써주신 국토안전관리원
            본 현장은 10ton 이상의 장비가 탑재되는 현장으로 국토안전관리원 검토             담당자 여러분들과 심의위원분들께 이 자리를 빌려 감사의 말씀을 전합니다.
           대상이었습니다.                                               어느 현장이나 다 마찬가지이듯 본 현장 역시 이 현장만의 특수한 관리
                                                                 Point가 있습니다. 2중 슬래브에 지중보가 설치되어 있는 기초의 빈공간을
                                                                 어떻게 메울지, 지하 오일탱크 부분의 철거순서는 어떻게 하는 것이 최적화
                                                                 된 공법일 것인지, 1층에 거대장비가 탑재되는데, 장비이동을 위해 대형개
                                                                 구부들을 어떻게 보강할 것인지, 기존건물의 안쪽에 위치한 CIP 벽은 어떻
                                                                 게 시공할 것인지 등 기본 방향은 수립되어 있지만, 아직도 <최적화된 답>
                                                                 을 구하기 위해 시공팀 에서는 끊임없이 고민하고, 새로운 공법을 고안해내
                                                                 고, 공정표를 짜보고 있습니다. 인생에 정답이 없듯이 현장에도 정답은 없
                                                                 지만, 안전하고 경제적이며 공기가 빠른 최적의 답을 찾기 위한 과정이 현
                                                                 장시공의 과정이 아닌가 싶습니다. 하지만, 도심지 대형 건축물들의 지하
                                                                 해체공사는 이제 시작입니다. 그리고 <최적화된 답>을 찾기위한 이러한 노
            국토안전관리원에서는 최초 서면으로 검토하려고 하였으나, 지하해체 공                력들이 쌓이고 쌓여, 안전하고 경제적인 지하철거 공법이 만들어지는 것 아
           정이 복잡하여, 1차 반려 후 대면심의 대상건물로 분류하여, 5분의 심의위             닐까 생각해 봅니다.
           원을 모시고 심사를 실시하였습니다. 다행히 2차 심의에서는 조건부 통과                본 현장이 끝까지 안전하게 무사고 현장이 되기를 기도하며 원고를 마칩
           되어, 강남구청의 심의를 거쳐 심의를 통과하였습니다. 해체과정에 대하여               니다.



           26    건 축 구 조    2022 _ 05 _ 06   제29권 / 제03호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