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5 - 건축구조 Vol. 29 / No. 03
P. 25

『센터포인트 강남개발사업』을 통해 본 도심지 지하층의 해체계획 사례


                                                                                                    Special Report  _   03










            A. 검토 시 참고하여야 하는 자료                                     ⑧  신설 철골보 또는 신설 슬래브 타설 등 추가부재 상부에 동바리 설치
             ① [건축물 관리법] 시행규칙 제12조 제1항 각호                             시 처짐에 대하여 주의필요.

             ② [건축물 해체계획서의 작성 및 감리업무 등에 관한 기준]                      ⑨  동바리 내력이 작을 경우 H-형강으로 대체 및 이중설치하여 작업자
             ③ 건축물 해체계획서 작성 매뉴얼 및 표준서식 (국토안전관리원)                      이동 통로간격을 가급적 넓혀 주는 것이 적정하나 어려울 경우, 최소
             ④ 건축물 해체계획서 검토 사례집 (국토안전관리원)                             한방향은 작업자 이동통로 확보간격 필요.
             ⑤ 그 외 각 지차제 별도 기준                                      ⑩  OPEN 구간에 동바리 설치 시 충분한 이격거리를 두어 콘크리트 파

             ⑥ 건축구조 기준 등                                              쇄 과정에서 동바리가 전도되지 않도록 주의필요.


            B. 잭서포트 구조검토 시 주안점                                    3) 토압, 수압 등 수평하중을 고려한 철거 Sequence의 결정
             ① 준공도면을 기준으로 현장조사필요.                                   수평하중을 고려한 철거 Sequence는 지하층 해체계획에 있어서 가장
               (기존 진단수행하였을 경우에도 검토담당자는 현장방문하여 OPEN                어려운 부분입니다. 특히 본 현장의 경우 역타철거이므로, 철거와 신축골
               위치 및 구조체 일치  여부, 동바리 설치 불가 구간 및 보강 불가 구간           조를 병행해서 Sequence를 정해야 하기 때문에 난이도가 더욱 높았습니
               등 확인 필요)                                           다. 이러한 Sequence 계획 및 부재설계는 건축구조기술자뿐만 아니라, 토
             ② 기존구조체의 구조안정성 검토.                                   질 및 기초분야, 흙막이 가시설 분야, 건축시공, 토목시공 등 다양한 분야

               -  보 및 슬래브 등 기존구조체 보강 최소화 또는 보강하지 않도록 동            의 기술자들이 긴밀히 협업하여 계획해야 합니다. 전반적인 시공 순서는
                 바리 배치.                                           다음과 같습니다.
               -   기존 슬래브 및 기초에 대해서 2방향 전단검토 수행하여 안정성
                 확보                                               [ Stage Ⅰ : 준비공정 ]
               -  기초형식에 따라 지내력 만족여부 검토 및 기초배근 적정성 검토                ① Jack Support 설치

                 필요.                                                ② 장비탑재를 위한 1층 바닥 슬래브(t=300mm) 시공
             ③ 동바리 좌굴길이 산정에 주의                                      ③ CIP 벽체 및 PRD 기둥 설치
               -   기존 건물은 부력제어공법 중 자중제어방식으로 이중슬래브 주로

                 사용. 해당 구간의 시공방법에 따라 동바리 좌굴길이 산정에 주의              [ Stage Ⅱ : 지상 1층 골조 철거 ]
                 필요.                                                ① 지하 1층 순 Raker 설치
               - 현장 조사하여 도면에 미표기된 OPEN 및 단차 구간 확인필요.                ② 기존 지상 1층 골조 철거
               - 장주구간이 있을 경우 가급적 H-형강 선정.                           ③ 신설 지상 1층 골조 설치
             ④ 해체장비 장비수직이동 구간(잔재물 경사로) 하중 반영                        ④ 지하 1층 순 Raker 및 외벽 동시철거

               -   콘크리트 파쇄하여 만들게 되므로 장비이동에 필요한 SLOPE 확                  (Raker 철거 → 외벽철거의 순서로 진행)
                 인 후 해당 하중을 저항하도록 설계 필요 (콘크리트 공극률 산정에
                 주의 필요)
             ⑤ 운용장비하중 제원 및 운용계획이 반영된 장비하중 산정
               - 해체장비, 덤프트럭, PRD 장비 등의 운용여부 확인 후 이를 반영
               - 필요 시 장비운용구간을 지정할 경우 이를 구조도면에 반드시 기입.
               - 장비운용 불가 구간 필요 시 이를 정확히 구조도면에 기입.
             ⑥ 동바리 제원을 접수 후 구조검토 필요. (내력 및 PLATE 치수 등)
             ⑦   기존구조체 하중 및 신설되는 구조체에 추가 하중이 누락되지 않도

                록 주의필요.






                                                                한국건축구조기술사회지      Journal of  The Korea  Structural  Engineers Association  23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