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6 - 건축구조 Vol. 29 / No. 04
P. 26

특 집








                   특 집  0 3




            항목                KDS 41 10 15 : 2016                    KDS 41 10 15 : 2022              근거 / 사유
                 5.13.5 비틀림각변위 및 응답각가속도의 산정
                 (1) 비틀림최대각변위                           ④ 비틀림각변위
                 5.10.1(적용범위)를 만족하는 장방형평면인 건축물의 비틀림에 의한  5.10.1(적용범위)를 만족하는 직사각형 평면인 건축구조물의 최상층  [수정 및 추가] 진동모드에 의한
                 최대각변위는 다음 식으로 산정한다.                    높이에서의 비틀림에 의한 최대각변위  max  및 임의높이 z에서의 각  보정계수 를 도입하여 가 커지
                                                        변위 (z)는 각각 식(5.14-4.a), 식(5.14-4.b)에 따라 산정한다.  면 각변위가 증가할 수 있도록 함
                                   (rad)                  (5.13.5)              (rad)                 (5.14.-.a)

                                                                                                                   (5.14-4.b)  임의높이 z에서의 수평변위 산정
                                                                                                방법 추가
                 단,                                     단,
                 여기서, g T  : 비틀림모멘트피크팩터                 여기서, g T  : 비틀림모멘트피크팩터
                     C T′ ′ : 변동비틀림모멘트계수(식(5.10.2)에 따른다)     C T′ ′ : 변동비틀림모멘트계수로 식(5.10-1.a)에 따른다.
                     q H  : 속도압(N/m )(5.5에 따른다)              q H  : 설계속도압(N/m )으로 식(5.5-1)에 따라 산정한다. 단,
                              2
                                                                        2
                                                                  설계풍속 V H 는 식(5.14-1)을 사용한다.
                     B : 건축물의 풍방향대표폭(m)                      B : 건축물의 풍방향대표폭(m)
                     H : 건축물의 기준높이(m)(5.1.2.5)에 따른다)         H : 건축물의 기준높이(m) (5.1.2.(6)에 따른다.)
                                                                            2
                     *
                     I : 일반화관성모멘트(kg·m ) 2                   I T  : 일반화관성모멘트(kg·m )로 식(5.10-1.c)에 따라 산정한다.
                                                             *
                                                              : 일반화변동풍력의 진동모드 차이에 따른 보정계수로 식
                                                                  (5.6-1.i)에 따른다.
                     R L  : 비틀림모멘트공진계수(식(5.10.3에) 따른다)       R T  : 비틀림모멘트공진계수로 식(5.10-1.e)에 따라 산정한다.
                     n T  : 비틀림1차고유진동수(Hz)                   n T  : 비틀림1차고유진동수(Hz)
                                                             (z) : 건축구조물의 진동모드형상
                                                        (2) 응답가속도
                                                        ① 설계풍속                                  [신설] 응답가속도를 평가할 때는
                                                        사용성 검토를 위한 응답가속도를 산정할 경우에는 식(5.14-5)의 재현  재현기간 1년 풍속 V(1)을 사용하
                                                        기간 1년 설계풍속 V H (1)을 사용한다.               도록 하고, 풍향계수 K D 는 고려하
                                                                 V H (1) = V(1)K zr K zt  = 0.5V 0 K zr K zt                         (5.14-5)  지 않도록 함
                                                        여기서, V(1) : 재현기간 1년 풍속(m/s)
                                                             V 0  : 기본풍속 (5.5.2에 따른다)
                                                             K zr  : 풍속고도분포계수로 지붕면평균높이 H에서의 값(5.5.4에
                                                                    따른다)
                                                             K zt  : 지형계수(5.5.5에 따른다)
                                                        단, 건설지점 부근의 풍관측자료에 의해 V(1)을 산정하고자 할 때에
                                                        는 공인된 극치통계해석법을 사용하고, 자료의 길이, 측정오차, 평가
                                                        시간, 풍속계높이, 풍속계 주변의 지표면상태 등을 고려해야하며, 풍
                                                        속자료는 지표면조도구분 C인 지상 10m에서 10분간 평균풍속 값으
                                                        로 균질화해야 한다.
                 5.13.3 풍방향변위 및 응답가속도의 산정               ② 풍방향응답가속도
                 (2)  풍방향최대응답가속도                        건축구조물 최상층에서의 풍방향최대응답가속도 a D,max  및 임의높이  [수정 및 추가] 진동모드에 의한

                 건축물 최상층에서의 풍방향최대응답가속도 a D,max 는 다음 식으로 산  z에서의 응답가속도 a D (z)는 각각 식(5.14-6.a), 식(5.14-6.b)에 따라  보정계수 를 도입하여 가 커지
                 정한다.                                   산정한다.                                   면 응답가속도가 감소할 수 있도
                                                                (5.13.2)                           (5.14-6.a)  록 함
                                                                                                                (5.14-6.b)  임의높이 z에서의 수평가속도 산
                                                                                                정방법 추가
                 단,                                     단,


                 여기서, g D :풍방향피크펙터                      여기서, g D  : 풍방향피크펙터
                     C D  : 평균풍력계수                           C D  : 평균풍력계수
                                                                        2
                     q H  : 속도압(N/m ) 2                      q H  : 설계속도압(N/m )으로 식(5.5.1)에 따라 산정한다. 단,
                                                                   설계풍속 V H 는 식(5.14-5)를 사용한다.
                     B : 건축물의 풍방향대표폭(m)                      B : 건축구조물의 풍방향대표폭(m)




           24    건 축 구 조    2022 _ 07 _ 08   제29권 / 제04호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