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02 - 건축구조 Vol. 29 / No. 04
P. 102

국가기술자격 기술사 시험문제







                           국가기술자격 기술사 시험문제                                   제128회 기술사 시험 시행일 : 2022년 7월 2일








                                                            1 교 시





           11.  수직증축 리모델링을 계획하고 있다. 증축 전 벽체의 기초에 수               13.  아래 그림은 철근콘크리트 I형 보에서 웨브 부분의 균열형상 및
             직하중 1000kN(고정하중 700kN + 마감 및 활하중 300kN)이               평면변형률() 상태를 나타낸다. a)는 완만한 균열 경사각도()를,
             작용할 때 허용내력 500kN/EA인 2개의 말뚝이 지지하고 있다.                  b)는 a)보다 가파른 균열 경사각도를 나타내고 있다.
             증축 후 동일 벽체의 수직하중이 1300kN으로 증가할 경우 추가
             로 보강해야 할 말뚝 갯수를 산정하시오.                                 1)  서로 다른 각도의 사인장 균열이 발생하는 주근 및 스터럽의

             ( 단, 추가하는 말뚝은 리모델링 전 마감 및 적재하중이 없는 상태                    배근 상태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에서 보강 완료하는 매입말뚝이며, 보강말뚝의 내력은 500kN/

             EA로 동일하지만 매입말뚝으로서 수직강성은 기존 말뚝의 2/3                     2)  경사각 45°에 근거하여 유도된 기준상의 스터럽의 전단 기여
             이다.)                                                     분의 안전성에 대하여 a)와 b)를 비교하여 설명하시오.






           12.  아래 그림은 고층건물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벽량으로 구성한
              벽체의 배치 유형을 나타낸 것이다. 비틀림 모멘트를 지지하는
              관점에서 각 구조의 장/단점을 역학적으로 설명하시오.                                  a)                       b)








                          a)                b)





                          c)                d)




















           100   건 축 구 조    2022 _ 07 _ 08   제29권 / 제04호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