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03 - 건축구조 Vol. 29 / No. 04
P. 103
제128회 기술사 시험 시행일 : 2022년 7월 2일
국가기술자격 기술사 시험문제 제128회 기술사 시험 시행일 : 2022년 7월 2일
2 교 시
1. 아래 그림의 7층 전단벽식 건물에서 벽체 ① 및 벽체 ⑤가 분담 2. <그림 A>와 같은 H-형강 캔틸레버 보의 처짐이 과도하게 발생하
하는 수평력을 산정하고, 전체건물에서 발생하는 최대 수평변위 여 강봉을 이용하여 <그림 B>와 같이 매달고자 한다.
(c max ) 및 비틀림에 의한 회전각(φ)을 산정하시오.
• 수평력 및 비틀림에 대한 골조의 기여는 무시한다.
• 슬래브는 격막작용(Diaphragm Action)을 한다.
<그림 A> <그림 B>
• Saint-Venant 비틀림에 대한 벽체의 저항은 무시한다.
• 벽체 단면 자체의 Warping 상수는 무시한다.(I w0 = 0)
4 3 1) <그림 A>에서 B점의 처짐량을 구하시오.
wl Fl
• 캔틸레버의 수직처짐은 =
8EI 8EI 2) <그림 B>와 같이 강봉으로 매달았을 때, B점의 처짐량이
(w = 등분포하중, F = wl)이다. 10mm 이하로 되기 위해 필요한 강봉(SS235)의 최소직경을
2
• 작용 수평력 Fy = 1000kN, 영계수 E = 23kN/mm , 벽체 구하고, 이 최소직경 강봉을 적용했을 때, B점의 처짐량을 구
두께 t = 250mm, 층고 h = 3m, 벽체 ④ 및 ⑤의 길이는 하시오.
10m이다. ( 단, 재료성질은 완전탄소성이고 강봉은 탄성상태를 유지하며,
• C는 수평력 혹은 평면의 중심이며, O는 전단중심이다. 자중은 고려하지 않음)
• H-450×200×9×14
8
4
2 = 3.35×10 mm )
(SS235, A = 9676mm , I x
• H-형강 및 강봉의 탄성계수 : 205GPa
= 235MPa
• SS235 : F y
b) 입면도
a) 벽체 배치도
c) 수평 변위도
한국건축구조기술사회지 Journal of The Korea Structural Engineers Association 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