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05 - 건축구조 Vol. 29 / No. 04
P. 105
제128회 기술사 시험 시행일 : 2022년 7월 2일
국가기술자격 기술사 시험문제 제128회 기술사 시험 시행일 : 2022년 7월 2일
3 교 시
1. 아래 그림 a와 같이 계수 이동하중(150kN, 50kN)이 단순보 위 2. 아래 그림과 같이 스팬 6m, 간격 3.0m인 합성보 B 1 을 H-300×
를 지나갈 때, A점 기준 절대최대 휨모멘트가 일어나는 위치 X와 150×6.5×9인 강재와 데크플레이트 슬래브(리브춤 75mm, 토핑
절대최대 휨모멘트를 산정하고, 단순보의 콘크리트 단면이 아래 콘크리트 두께 65mm)로 구성된 합성보로 설계하고자 한다.
)를 산정하시오.
그림과 같을 때 필요 휨철근량(A s
2
2 = 210000N/mm )
• 강재 : SM275A(f y = 275N/mm , E s
2 = 27000N/mm 2
= 30MPa • 콘크리트 : f ck = 27N/mm , E c
• 콘크리트 설계기준강도 : f ck
= 4678mm 2
• 보통콘크리트 • H-300×150×6.5×9 : A s
= 400MPa
• 철근 항복강도 : f y
• 스팬 : 12m
• 이동하중간의 거리 : 4m
• η = 1.0
※ 콘크리트 압축응력의 분포와 변형률 사이의 관계는
등가직사각형 압축응력블록을 적용한다.
<평면도>
<정단면도> <측단면도>
를 산정하시오.
(1) 합성보의 슬래브 유효폭 b e
2
= 27N/mm 의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완전
(2) SM275A강재와 f ck
합성보와 불완전합성보로 설계할 경우 각각에 대하여 설계휨
을 구한 후 안전성을 검토하시오.
강도 b M n
( 단, 동바리를 설치하지 않은 경우로서, 강재보의 횡좌굴은 데
크플레이트에 의해 방지된 것으로 가정한다. 또한 불완전합
= 85.1kN인 스터드앵커가 8개 시
성보의 경우 공칭강도 Q n
공된 것으로 가정한다. 고정하중은 다음과 같으며, 활하중은
2
3.0kN/m 로 한다.)
한국건축구조기술사회지 Journal of The Korea Structural Engineers Association 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