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67 - 건축구조 Vol. 29 / No. 03
P. 67
Question and Answer
A
1) 답변
KDS 41 17 00에 따라 내진설계를 할 경우, 비구조 조적벽체는 90mm 이상 또는 0.035h를 확보해야 하므로
질문하신 상황과 같이 층고가 높은 경우 (h › 2571mm)에는 0.035h를 만족하도록 설계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됩니다. 그러나, 최소두께 90mm를 사용하여 설계한 경우에도 설계법에 따라 적절한 보강조치를 취한다면
문제가 없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참고로, 설계법에 따른 비구조 조적벽체의 최소두께 및 횡지지 간격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KDS 41 34 06 KDS 41 17 00 KDS 41 90 34
(조적식 구조 경험적 설계법 ) (건축물 내진설계 기준 ) (소규모건축구조기준 조적식구조 )
수직, 수평 횡지지 간격 최소두께 최소두께
외부 18t 90mm or (0.035h) 90mm
내부 36t 공공장소 or 비상구 : 120mm 이상
2) 답변
조적구조 일반사항의 “1.2.8 비내력벽에 대한 하중”에 따라 비내력 조적벽체는 자중과 마감재, 수평하중에 대해
견딜 수 있도록 설계해야 합니다. 내부와 외부에 위치한 조적벽체가 90mm 또는 0.035h에 따른 최소두께 기준을
만족하고, 작용하중에 대해 안전하게 검토되면 문제가 없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따라서 건축물 내진설계(KDS
41 17 00)에서 외부와 내부에 따른 최소두께 구분은 필요하지 않다고 판단됩니다.
한국건축구조기술사회지 Journal of The Korea Structural Engineers Association 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