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5 - 건축구조 Vol. 29 / No. 03
P. 45
건설사업관리(Construction Management)의 이해 및 역할
1. 건설사업관리의 정의
CM(Construction Management, 건설사업관리)은 발주자의 대리
인 (Agency CM)으로서 설계단계에서부터 시공 단계까지 사업의 특
성에 대한 이해와 분석을 바탕으로 설계업체, 건설업체를 관리하거나
협업을 통하여 책정된 예산과 사업기간 내에 최적의 품질을 갖춘 공
사 목적물을 완성시키는 것이 수행목표이다. 즉, CM은 창의성을 발
휘하여 건설생산과정에서 한정된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투자
효과를 증대시키는 역할을 한다.
CS(Construction Supervision, 공사감리)는 주로 시공 단계에서
공사 수행의 적절성을 판단하는 근거를 제공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
으며 구체적으로 시공 단계에서 설계도서 검토, 품질관리 및 검측관
회원 칼럼 리, 안전관리계획서 검토 및 시행 확인, 공정관리 검토 및 공정진행
0 1 보고, 기성심사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시설물의 안전확보에 역할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와같이 CM과 CS는 수행목적 및 역할에 차이점이 있었으나 2014
년 건설기술진흥법 개정과정에서 “건설사업관리”라는 용어로 통합되
어 시행되고 있다.
2. 주요 수행업무
건설사업관리는 법적 강제력 없이 순수한 기술지원형태로 이루어
건설사업관리 지는 CM계약(대부분 건설사와 체결되는 형태)과 법적 구속력을 갖고
업무를 수행하는 CM+CS, CS형태로 분류될 수 있으며 계약의 형태
(Construction Management)의 와는 관계없이 건설사업관리자가 설계단계부터 시공 단계에 걸쳐 전
반적으로 수행하게 주요업무는 다음과 같다.
1) 기본적인 목표는 설계관리, 원가절감, 공정관리의 여건을 종합
이해 및 역할 적으로 검토하여 최적의 설계가 되도록 제시하고 설계사 및 시
공자 간에 업무가 효율적으로 진행되도록 조율한다.
2) Value Engineering를 통해 원가절감 및 공법 개선을 검토한다.
3) 공사 일정에 대하여 시공자와 협력하고 Master Schedule을 검
토한 후 일정관리 및 대책을 수립한다.
4) 시공도면 및 시공계획서를 검토, 확인하고 조치한다.
5) 공사전반에 관한 품질확보를 위하여 절차 및 관리방안을 수립하
고, 시공 중에 발생되는 하자 예상요인에 대하여 시공자 및 설계
자와 사전 협의한다.
6) 현장의 안전상 위해 요인에 대하여 사전점검을 통한 예방대책을
협의하고 조치될 수 있도록 한다.
| 이 상 환 | 7) 최적 설계와 시공 요건에 부합되도록 시공 전 설계도서 검토를
㈜건원엔지니어링 전무
통해 설계변경을 최소화하고 시공성 확보 및 사전 검토를 통한
시행 착오의 최소화를 위한 설계도서의 완성도를 확보한다.
한국건축구조기술사회지 Journal of The Korea Structural Engineers Association 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