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3 - 건축구조 Vol. 29 / No. 03
P. 43
내단열 철근콘크리트 건축물의 외벽과 슬래브가 접하는 부위에 적용하는 열교차단 단열구조체의 실험적 휨 구조 성능 평가
있다. 극한강성은 최대하중에 대한 기울기로 산정할 수 있으며 ㄱ자형 정
착방식이 U자형 정착방식에 비하여 1.13배 더 큰 값을 나타내었다.
3.4 시험체 파괴모드
다음의 그림은 슬래브 두께 210mm 시험체(U자형 정착, ㄱ자형 정착)와
RC 시험체의 종국 파괴모드의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1) 슬래브 210mm(U자형 정착) 시험체
[그림 3.6] 구조실험 결과분석 (초기강성, 탄성변위)
<전단시험체 구조실험 종료> <휨시험체 구조실험 종료>
[표 3.4] 구조실험 결과분석 (초기강성, K i )
[그림 3.7] U자형 정착 구조실험 종료 모습
실험최대하중 탄성거동 변위 초기강성, K i
구 분
(kN) (mm) (kN/m)
U자형 정착 46.4 18.7 2,481 (2) 슬래브 210mm(ㄱ자형 정착) 시험체
ㄱ자형 정착 51.4 21.2 2,425
Control RC 32.4 5.9 5,492
[표 3.5] 구조실험 결과분석 (유효강성, K e )
실험최대하중/2 실험최대하중/2 변위 유효강성, K e
구 분
(kN) (mm) (kN/m)
U자형 정착 23.2 15.1 1,536
<전단시험체 구조실험 종료> <휨시험체 구조실험 종료>
ㄱ자형 정착 25.7 18.5 1,389
[그림 3.8] ㄱ자형 정착 구조실험 종료 모습
Control RC 16.2 8.9 1,820
[표 3.6] 구조실험 결과분석 (극한강성, K u ) (3) Control RC 슬래브 210mm 시험체
실험최대하중 실험최대하중 변위 극한강성, K u
구 분
(kN) (mm) (kN/m)
U자형 정착 46.4 123.3 376.3
ㄱ자형 정착 51.4 120.7 425.8
Control RC 32.4 129.6 250.0
초기강성은 구조실험 결과 초기접선을 산정하여 구하였으며, 정착방식
<전단시험체 구조실험 종료> <휨시험체 구조실험 종료>
에 따라 거의 유사한 수준이나 상세히는 U자형 정착방식이 ㄱ자형 정착방
식에 비하여 2.3% 정도 큰 차이를 보였다. 유효강성은 콘크리트 할선탄성 [그림 3.9] Control RC 구조실험 종료 모습
계수 산정방식을 참고로 하여 최대하중의 1/2에 해당하는 값을 기초로 평
가하였다.
ㄱ자형 정착방식의 유효강성은 U자형 정착방식의 90% 수준으로 두 정
착방식의 유효강성은 큰 차이가 없었으며. 이는 그림에서도 확인할 수
한국건축구조기술사회지 Journal of The Korea Structural Engineers Association 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