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9 - 건축구조 Vol. 29 / No. 03
P. 39
내단열 철근콘크리트 건축물의 외벽과 슬래브가 접하는 부위에 적용하는 열교차단 단열구조체의 실험적 휨 구조 성능 평가
기술 초대석 0 1
내단열 철근콘크리트 건축물의 외벽과
슬래브가 접하는 부위에 적용하는 열교차단 Structural technology
단열구조체의 실험적 휨 구조 성능 평가
| 유 영 종 | | 안 상 희 | | 양 영 태 | | 한 태 욱 | | 박 진 영 |
㈜정양SG ㈜정양SG ㈜건우기술 ㈜건우기술 (재)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기업부설연구소 소장 기업부설연구소 책임 대표이사/건축구조기술사 이사 책임
1. 서 론 적용되어야 한다.
2020년부터 1,000m² 이상의 공공건축물을 시작으로 하여 2030년에는
500m² 이상의 모든 건축물이 단계적으로 제로 에너지 건축 의무화 대상
이 됨에 따라 제로 에너지 건축물 구현을 위한 고성능 단열 자재 도입의 중
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제로 에너지 건축은 소비하는 에너지와 자체적으로
발전하는 에너지를 합산하였을 때, 최종적으로 에너지 소비량이 0(ZERO)
가 되는 건축물을 말하는 것으로 자체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에너지양에
는 한계가 있으므로 고단열, 열교차단, 고성능 3중 창호, 고기밀 시공 등의
‘패시브(passive) 요소’를 통해 건물의 에너지 사용량을 최소화해야 제로
에너지 건축의 실현이 가능해진다.
건물의 에너지 절약을 위하여 단열재를 더욱 두껍게 시공하거나 단열재
자체의 성능을 향상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단열기준을 높일수록 열교에 의
한 열 손실 비중이 커져 건축물의 에너지 성능이 급격히 저하되므로 제로
에너지 건축의 실현을 위해서는 열교차단재 제품 및 관련 공법이 반드시 [그림 1.1] 구조재와 단열재의 역할 수행 적용예시
한국건축구조기술사회지 Journal of The Korea Structural Engineers Association 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