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4 - 건축구조 Vol. 29 / No. 03
P. 34
구조설계기사
<표 2-4> 풍하중 2) 풍하중에 대한 안전성
풍하중의 경우 KBC2009 기준에 따라 풍동실험결과로부터 평가한 주골
구 분 내 용
조 설계용 수평하중은 X축과 Y축방향의 전체 주하중이 2.3절의 절차에 따
기본풍속 26m/s
라 산정한 값의 80% 이하가 되지 않도록 규정함에 따라 풍동실험 결과와
지표면조도 B
기준 풍하중의 80%를 비교하여 큰 값을 적용하였다.
중요도계수 1.1 (중요도 특):100m이상
풍하중은 건축구조기준(KBC2009)을 기준으로 하여 구조해석을 수행하고
지형계수 1.0
기준에 따라 건물의 최대 수평변위를 검토한 결과 X방향 풍하중의 최대변위
기준에 따라 대상 구조물의 형상비가 3.5 이상에 해당하여
특별 풍하중 고려
풍동실험을 실시하여 특별풍하중을 고려함 가 24.1mm, Y방향 풍하중의 최대변위가 164.6mm로 양방향 모두 허용최대변
위 H/500(=238.4mm) 이내로 존재하여 풍하중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하였다.
<표 2-5> 지진하중
<표 3-2> 풍하중 해석결과
구 분 내 용
지역계수 0.176g (상세지진재해도) 구분 X-dir Y-dir
지반종류 SC (매우 조밀한 토사지반 또는 연암지반)
중요도계수 1.2 (내진등급 1) 내진설계범주 C
풍
반응수정계수 5.0 (건물골조시스템-철근콘크리트 보통전단벽)
하
시스템초과강도계수 2.5 변위증폭계수 4.5 중
허용층간변위 0.015h sx
최대 24.1mm 164.6mm
3. 구조해석 및 검토 변위 H/4,946 H/724
1) 구조해석시 고려사항 허용 238.4mm 238.4mm
분당 두산타워의 경우 2개의 타워가 24층~27층에서 메가트러스로 연 변위 H/500 H/500
결되는 구조물로써, 횡하중에 의한 구조해석 수행 시 건물의 특성을 바탕 판정 O.K O.K
으로 Mass 및 층격막(Diaphram)작용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였다.
3) 지진하중에 대한 안전성
<표 3-1> 층다이아프램 지진하중은 건축구조기준(KBC2009)을 기준으로 하여 구조해석을 수행하
였고, 기준에 따라 건물의 층간변위를 검토한 결과 X방향 지진하중의 층간변
모듈 구성 층다이아프램
위가 10.0mm, Y방향 지진하중의 층간변위가 11.6mm로 양방향 모두 허용층
간변위비0.015h(65.5mm)이내로 존재하여 지진하중의 안전성을 확보하였다.
<표 3-3> 지진하중 해석결과
구분 X-dir Y-dir
지
진
하
중
중간층에서 2개의 타워로 형성되는 부분을 각각 구분하여 모델링하지
층간
않고, 하나의 모델링으로 구현하여 건물 전체를 하나의 강체로 구성하였으 변위 10.0mm 11.6mm
며, 2개의 타워를 각각 모듈로 지정하여 타워별로 층다이아프램을 형성시 허용 64.5mm 64.5mm
변위
켰다. 2개의 타워의 거동이 상이함에 따라 발생하는 응력을 반영하여 접합 0.015H 0.015H
부를 설계하였다. 판정 O.K O.K
32 건 축 구 조 2022 _ 05 _ 06 제29권 / 제03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