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81 - 건축구조 Vol. 29 / No. 04
P. 81
Question and Answer
3. 층간변위 Δ는 주어진 층의 상·하단 질량중심의 횡변위 차이로 산정하지만, 1) 평면비정형성의 유형
H-1(비틀림비정형)과 2) 내진설계범주 ‘C’ 또는 ‘D’ 여부를 확인 후 1)과 2) 조건에 해당하면 층간변위(Δ)는
상·하단 모서리 변위간 차이 중 최대값으로 하여야 합니다.
KDS 41 17 00 : 2019
7.2.8.1 층간변위의 결정
층간변위 Δ는 주어진 층의 상·하단 질량 중심의 횡변위 차이로서 산정한다. 허용응력설계의 경우에도
Δ는 지진하중에 하중계수 0.7을 곱하지 않고 산정하여야 한다. 건물이 표 5.3-1에 의한 평면비정형성의
유형 H-1과 내진설계범주 ‘C’와 ‘D’로 분류된 경우에 Δ는 주어진 층의 상·하단 모서리 변위 간 차이 중
최대값으로 한다.
표 5.3-1 평면비정형성의 유형과 정의
적용내진
유형번호 유 형 정 의 관련항목
설계범주
격막이 유연하지 않을 때 고려함. 7.2.6.4 C, D
비틀림 어떤 축에 직교하는 구조물의 한 단부에서 우발편심을 고려한
H-1 표 7.1-1 D
비정형 최대 층변위가 그 구조물 양단부 층변위 평균값의 1.2배보다 클
때 비틀림 비정형인 것으로 간주한다. 7.2.8.1 C, D
한국건축구조기술사회지 Journal of The Korea Structural Engineers Association 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