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3 - 건축구조 Vol. 29 / No. 04
P. 33
구조물 붕괴사례와 공사 전 구조검토의 필요성
Special Report _ 04
특 집 0 4
구조물 붕괴사례와 공사 전 구조검토의 필요성
| 이 상 환 |
CM사 협의회 부회장
㈜건원엔지니어링 전무
1. 머리말 2. 구조CM의 주요 수행업무
구조물의 대형화, 복합화, 초고층화되어 가는 추세와 신재료 도입 및 합 발주자 또는 단장의 요청에 의해 현장 상주 또는 비상주로 참여하는 경
성구조 등 신공법의 개발 등으로 구조분야의 기술 및 이론이 지속적으로 우와 관련 법령에 의한 관계전문기술자의 협력 업무로 분류하여 설계단계
발전하고 있다. 또한 대형 태풍으로 인한 피해, 지진의 발생에 의한 내진 부터 시공단계에서 전반적으로 수행하게 되는 주요업무는 다음과 같다.
설계의 중요성 부각 등으로 관련 기준 및 구조시스템의 연성을 확보하기
위한 상세도 다양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구조분야의 기술발전과 관련 구 1) 구조상주 또는 비상주인력
조기준이 개정될 때마다 구조전문가들도 습득을 위해서 많은 시간과 노력 설계단계에서는 주로 설계도서(구조도면, 구조계산서, 시방서, 보고서
을 필요로 하게 된다. 등)를 통해 적정성을 검토하게 된다. 시공단계에서는 건설사에서 사전 제
그러나 대부분의 건설현장에서는 구조분야의 지식과 경험이 없는 비전 출하거나 CM단에서 건설사에 사전요청하여 제출된 문서(승인요청서)를
문가에 의해 설계 및 시공관리가 수행되고 있다. 따라서 구조인력의 주기 검토한 후에 적합, 부적합, 보완조치의 형태로 평가한다. 평가결과에 대해
적 현장참여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하기 위해 현장규모와 특성에 따라 다르 건축CM을 포함하여 관계자에게 정보를 공유하며 특별히 관리가 필요한
겠으나 설계단계와 시공단계에서 시공 전에 검토가 필요한 구조관련 수행 내용에 대해서는 적합판정된 내용과 현장 시공조건과의 일치 여부를 현장
업무를 소개하고, 최근부터 10년 이전에 발생된 구조물의 붕괴사례를 통 점검을 통해 확인하게 된다.
해 공사 전 구조검토의 필요성에 대해 기술하고자 한다.
한국건축구조기술사회지 Journal of The Korea Structural Engineers Association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