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6 - 건축구조 Vol. 29 / No. 04
P. 36

특 집








                   특 집  0 4




            사고현장         붕괴전경                    구조검토의 필요성                     4. 맺음말
                                                                                구조인력의 주기적 현장참여에 대한 중요성을 강
                                    RC공법이나 NRC공법의 콘크리트 타설에 대한 현장조건은 동일하        조하기 위해 설계단계 및 시공단계에서 수행하게 되
                                    며 현장에서 통상적으로  보와 슬래브를 동시에 타설하게 되는데
             대전                                                                는 주요 구조업무와 구조물 붕괴사례를 통해 공사 전
            주상복합                    이에 대해 작업순서를 제어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음. 따라서 구조계
                                    산에 의한 서포트 설치조립도 검토와 설치도에 따라 시공되었는지
                                    타설 전 확인작업을 통해 사고발생의 확률을 낮추는 시도도 필요.        구조검토의 필요성을 기술하였다. 현장에서의 사고는
                                                                               법령에서 정해진 구조전문가의 협력단계에서 발생될
                                    원구조설계사는 시공과정 중 구조검토 요청이 있을 경우에 검토 후        가능성은 희박하며 구조와 관련되어 있는 경우에는
                                    회신해 주는 과정이 있었으나 39층 바닥슬래브의 시공방법과 지지        대형사고로 전개됨을 확인할 수 있다.
            광주화정                    방식에 대한 내용은 검토요청이 없었음. 사고의 직접적인 발생요인
            아이파크                    이 피트층 역보타설과 3개층 서포트 사전제거이므로 사전에 구조검         현장에서 구조계산서와 구조도면을 이해할 수 있는
                                    토가 수행되었다면 역보가 슬래브에 미치는 영향, 서포트를 통한 하
                                    중분배의 필요성이 현장에 인지되었을 것임                     기술자를 만나기는 힘들다. 또한 구조설계도서나 기
                                                                               술검토서를 무시하고 무리하게 진행시키는 공사를 제
                                                                               어하는 역할도 필요하다. 구조계산서와 도면이 불일
                                    해체계획서가 대상건물의 구조적 특성이 고려되지 않았고 구조안전
              광주                                                               치하고 필요한 부위에 도면이 누락되어 있거나 시공
            학산빌딩                    성 검토 없이 작성되었으며 해체단계별 구조검토 및 전도방지 대책
                                    등의 지침이 포함되지 않았음.
                                                                               되지 않는 상세가 제공되는 경우도 종종 발생되고 있
                                                                               다. 또한 공사현장에서 발생될 수 있는 오시공과 품
                                                                               질하자 등으로 공사가 일시중단되거나 지연되기도 한
                                    현장에 상주 및 비상주 구조인력이 투입되어 있었고 시공 중 발생
                                    되는 현안에 대해 구조검토를 지원하고 있었으나 시공팀에서 중요         다. 골조공사 중에 현장의 여건이 설계도서에 맞출 수
            한국은행                    하지 않은 가설구조로 인식하고 선조립 벽체철근망 인양용 각형강
            통합별관                    관에 대한 사전검토가 수행되지 않았음. 사고발생 후 확인결과, 각       없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주기적인(최소 주 1회) 구조
                                    형강관의 내력이 부족해 각형강관이 꺾이면서 철근망이 추락하였
                                    다. 또한 가설공사표준시방서의 안전율을 확보되지 않았음.            기술자의 현장참여를 통해 2.항에 기술된 주요업무를
                                                                               수행함으로써 언급된 위의 모든 문제상황들을 일정부

                                    구조적으로 시공 위험도가 높은 곡선구간의 PC공정에 대해 비상주        분 해소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구조CM과 구조설계자와의 회의를 통하여 시공순서 중 판넬존의 갭
              평택
            물류센터                    콘크리트 타설과 전도방지용 철근의 너트 및 와셔 절단 가능시점을
                                    협의하여 현장에 전달하였으나 현장에서는 그 순서와 공정단계별
                                    검사가 이루어지지 않았음.


                                    구조계산을 통해 결정된 파일개수 및 배치를 무시하고 설계도면
              아산                    보다 적은 양의 파일을 사용하였고 매트기초도 설계도에 제시된
            오피스텔                    700mm를 콘크리트 높이가 낮은 곳은 500mm, 높은 곳은 600m 등
                                    평균 550m로 설계도면 150mm 부족하게 시공되었음.


                                    PEB는 동일한 형태의 2차원 Frame으로 공간을 형성하는 구조로
                                    Rafter와 Column이 풍압에 대한 수압면적이 크므로 시공 시 조치가
            경주마우나                   필요함. 2차원 전용프로그램으로 설계되므로 일부 구간에 다량의
            오션리조트                   오프닝이나 강성이 큰 구조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3차원 구조해석을
              체육관                   통해 비틀림 등에 대한 검증 및 제어대책이 필요함. 즉 기존의 일반
                                    철골구조보다 복잡한 구조설계 절차를 거쳐야 하므로 전문적인 기
                                    술력이 필요함.

                                    거푸집 및 동바리 구조검토 시 현장조건에 맞지 않게 구조계산되는
                                    경우가 간혹 있으며 구조계산서와 설치조립도의 일치 여부와 현장
              사당                    조립상태의 확인이 필요함. 캔틸레버 형식의 슬래브를 지지하는 경
            종합체육관                   우에서 작용하중이 커서 서포트에 좌굴이 발생되어 슬래브가 처지
                                    는 경우도 있고 콘크리트 측압적용 (고유동콘크리트)과 waler 또는
                                    tie rod가 설치개수와 위치가 잘못되어 터지는 경우도 있음.




           34    건 축 구 조    2022 _ 07 _ 08   제29권 / 제04호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