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9 - 건축구조 Vol. 29 / No. 04
P. 39

국립항공박물관 구조설계




                                                                  3) 설계하중
                                                                    고정하중은 바닥 마감하중 및 조적벽체, 골조자중, 설비하중 등을 적합
                                                                  하게 고려하였으며, 활하중은 수장고, 도서관, 전시실, 대강당, 주차장, 공
                                                                  개공지 등으로 실 용도를 고려하여 건축구조기준에 적합하도록 적용하였
                                                                  다. 또한 지상 1층 옥외구간은 시공 시 차량하중을 고려해 시공 중의 안전
                                                                  성을 확보하였다.
                                                                    풍하중은 기준에 적합한 기본풍속 26m/sec와 주변 개활지를 고려한
                                                                  노풍도 C를 적용하였고, 지진하중은 서울 인근에 해당하므로 지역계수
                                                                  0.176g(지진구역I)으로 고려하였으며, 구조물의 구조시스템이 철근콘크리
                                                                  트 벽체와 철근콘크리트 라멘, 철골조가 혼재해 있어 지진력 저항 시스템
                                                                  으로 “강구조 설계기준의 일반규정만을 만족하는 철골구조시스템”을 적용
                                                                  (R=3.0)하였다.


                                                                  <표 1-4> 주요 활하중

                                                                       구 분         하 중          구 분          하 중
                                                                       수장고        10.0 kPa     경량지붕         1.0 kPa
                                                                       도서관         7.5 kPa      공조실         5.0 kPa
                                                                       전시실         5.0 kPa     옥상조경         5.0 kPa
                                                                       대강당         5.0 kPa    전시휴게실         5.0 kPa
                                                                     전망플라자         5.0 kPa   업무시설/연구실       3.5 kPa


            [그림 1-5] 지상 2층 구조평면도
                                                                  <표 1-5> 풍하중
                                                                        구 분                      내 용
            ■ 재료강도
                                                                       기본풍속                      26m/s
             콘크리트 강도계획은 설계 당시 기준을 적용해 내구성 확보를 위해 전
                                                                      지표면조도                       C
            체 구간 24MPa을 적용했으며, 철골은 내진구조 강재를 적용했다. 철근의
                                                                      중요도계수                    1.0 (중요도 1)
            강도는 HD13 이하 SD500, HD16 이상 SD600까지 사용하였다.
                                                                       지형계수                       1.0

            <표 1-3> 콘크리트 재료강도
                                                                  <표 1-6> 지진하중
                구분                재료강도                비  고
                                                                        구 분                      내 용
               콘크리트              fck = 24MPa         KS F 2405
                                                                       지역계수                 0.176g (상세지진재해도)
                              fy = 500MPa (HD13이하),
                철근                                   KS D 3504         지반종류                       S d
                              fy = 600MPa (HD16이상)
                                                                      중요도계수        1.2 (내진등급 1)  내진설계범주        D
                            Fy = 235N/㎟(SHN400, SM400)  KS D 3515
                철골          Fy = 325N/㎟(SHN490, SM490)  KS D 3515     반응수정계수                      3.0
                              Fy = 315N/㎟(STK490)    KS D 3566
                                                                    시스템초과강도계수         3.0       변위증폭계수        3.0
                                                                      허용층간변위                    0.015h sx
            ■ 적용기준
             설계 시 적용한 기준은 설계 당시 최신기준인 KBC 2016 기준을 적용했            4) 횡하중 검토
            으며 기타 콘크리트구조기준과 강구조 설계기준을 참고해 설계를 진행하                   풍하중의 경우 기준에 따라 검토결과 최대 변위는 0.79mm로 H/500 이
            였다.                                                   하로 검토되었으며 지진하중 검토결과 층간변위비는 최대 0.0012로 허용
                                                                  값 0.015 이하로 충분한 안정성을 확보하였다.




                                                                한국건축구조기술사회지      Journal of  The Korea  Structural  Engineers Association  37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