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3 - 건축구조 Vol. 29 / No. 04
P. 43
국립항공박물관 구조설계
[그림 3-4] HANGING 하중 해석 모델 [그림 3-5] HANGING 하중 해석 안전성 검토
4. 지붕 장 스팬 구조형식 검토 팬의 구조형식을 시공성과 안정성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는 일반 단일 형
지붕 장 스팬 구조(17m)는 건물의 최적설계를 위해 관람자가 이동이 가 강의 철골조를 선택하였다. 또한 지붕의 여름철, 겨울철 온도변화에도 안
능한 부분과 이동이 불가능한 구간을 구분해 설계하중을 최적화하고 장 스 전할 수 있도록 장 스팬 철골의 온도하중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하였다.
[표 4-1] 장 스팬 구조형식 검토
구분 원 안 (단일 H형강) 대안 1 (원형강) 대안2 (원형강 트러스)
부재형태
적용하중 및
지점조건
사용재료 SHN490 STKN490 STKN490
상하현재 P-406.4×9
부재크기 H-890×299×15×23 P-711.2×16
수직재 및 경사재 P-190.7×4.5
주요골조 응력비 0.857 0.882 0.818
처짐량 검토 23.13mm < 56.66mm(L/300) 35.96mm < 56.66mm(L/300) 25.46mm < 56.66mm(L/300)
골조물량(※) 3.615ton/1개소 (100%) 4.663ton/1개소 (129%) 3.489ton/1개소 (97%)
• 지붕구조 단순화로 경제적 단면형성 가능 • 천정 구조형태를 원형으로 미적 천정형태 가능 • 천정형태의 미려한 건축미 도출가능
• 구조체 접합부 단순화 및 단순시공으로 인한 • 구조적으로 비효율 단면 형성으로 구조물량 증대
장단점 시공성향상 • 원형 강관 접합관련 시공비 증가
• 천장 형태의 단순화는 가능하나, 미려한 천정 • 트러스설치 스팬이 위치별 다름으로 트러스 시공
형태의 도출 어려움 • 원형 강관 시공 시 접합부 시공 난점 및 제작에 난점
추천안 ◯
한국건축구조기술사회지 Journal of The Korea Structural Engineers Association 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