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7 - 건축구조 Vol. 29 / No. 04
P. 17
H형강 휨강도식 이제 간편하게 사용해보세요
Special Report _ 02
(3) 탄성 횡좌굴 구간 (L b ≥ L r → L b ≥ 30B) 5. 요약
세 번째 구간에서의 휨강도는 지금까지의 내용을 다시 한번 요약해서 정리하면
이고 이때, 인데
기본조건 : 강축휨을 받는 2축 대칭 H형강 콤팩트 부재
주로 보로 사용하는 H ≥ 1.33B의 H형강
이 구간에서의 휨강도식을 간략화하는 것은 좋은 아이디어가 떠오르지 (표 7 : 간략식 검증에 사용된 부재목록)
)일 때 비탄성 횡좌
않아 간략식을 유도하기보다는 횡지지 길이가 30B(=L r
굴 구간에서의 휨강도(=Mn 2 )를 기준으로 횡지지 길이가 30B에 비해 증가 소성한계비지지길이 L p ≒ 10×B
함에 따라 휨강도가 감소하는 비율을 검토하였다. 탄성한계비지지길이 L r ≒ 3×L p
[표 6] 탄성 횡좌굴 구간에서의 횡지지 길이 증가에 따른 휨강도 감소비율 (1) 소성설계구간 (L p ≥ L b → 10B ≥ L b )
M n1 = M p = F y Z x = 1.12F y S x
(2) 비탄성 횡좌굴 구간 (L p ≤ L b ≤ L r → 10B ≤ L b ≤ 30B)
(3) 탄성 횡좌굴 구간 [표 7] 보 부재용 H형강
(L b ≥ L r → L b ≥ 30B)
표 6에서 보면 횡지지 길이가 30B일 때의 휨강도(=Mn 2 )를 기준으로
40B일 때 간략식 대 정해의 비율이 0.77로서 30/40=0.75와 매우 근사하
고 마찬가지로 50B일 때 0.58은 30/50=0.6, 60B일 때 0.46은 30/60=0.5
로서 큰 차이가 나지 않음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탄성 횡좌굴 구간에
의 비로 감
서의 보의 휨강도는 비탄성 횡좌굴 구간의 휨강도식에서 30/L b
소시켜 구해도 개략적인 검토에서는 크게 문제가 되지 않을 것으로 사료됩
니다.
즉,
플랜지 폭이 300mm일 때 60B는 18.0m이므로 실무적으로 봤을 때 그
이상의 횡지지 길이는 검토할 필요가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한국건축구조기술사회지 Journal of The Korea Structural Engineers Association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