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74 - 건축구조 Vol. 29 / No. 04
P. 74

회원 칼럼  |  0 4





















           [그림 18] 성능기반설계 작업 프로세스


           3.8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한 감리/안전진단 기술 개발                    4. 맺음말
            건설 DX기술(Digital Transformation)을 통해 디지털감리/안전진단 및      단국대학교 부설 리모델링연구소는 다음과 같은 단계별 연구목표를 바
           OSC 현장검측에 적용가능한 AI모델 개발을 수행하고 있다. 디지털감리/              탕으로, IT기술에 기반한 기존건축물 내진성능평가 및 보강기술을 개발하
           안전진단 분야에서는 부재인식 AI모델 개발, 안전진단의 특성 AI모델 개              고, 관련분야 기술이전 및 전문 인력 양성을 통해 학·산·연 연계시스템
           발 및 자동 보고서 작성 플랫폼 개발을 통해 기존의 서면으로 현장을 체크              의 허브역할을 수행하고자 한다. 특히, 성능기반설계, 내진성능평가 및 보
           하는 방식에서 스마트기기와 같은 디지털 장비를 보조적으로 활용하는 방                강, 비선형모델링, 동역학 관련 온라인 교육 콘텐츠를 제작하여 공공 교육
           식을 통해 현장점검 및 보고서 작성을 자동화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기능을 확대하고자 한다.
           OSC 현장검측 분야에서는 모듈러 속성 AI모델 개발, 원격모니터링 플랫
           폼 개발을 통해 작업자에 의한 검측 오류 절감과 AI모델을 통한 작업의 효                 1단계      지반ㆍ구조재ㆍ비구조재 내진성능 3D DB구축
           율성을 증가시키고자 한다[그림 19, 20].                               (18년~20년)
                                                                     2단계
                                                                   (21년~23년)  지반ㆍ구조ㆍ비구조재ㆍICT 분야의 통합연구시스템 구축
                                                                     3단계
                                                                   (24년~26년)  기존 건축물 내진보강사업 컨설팅 및 현장지원 ICT시스템 구축


































           [그림 19] 감리부분 DX기술                                     [그림 20] 안전진단 부분 DX기술



           72    건 축 구 조    2022 _ 07 _ 08   제29권 / 제04호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