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71 - 건축구조 Vol. 29 / No. 04
P. 71

한국연구재단 중점연구소 단국대학교 부설 ICT융복합 내진리모델링 연구소 소개






            3. 리모델링 연구소 연구수행 사례
            3.1 스마트 구조물 건전도 모니터링 기술개발
             인공지능을 활용한 스마트 구조물 건전도 모니터링 기술을 개발, 건축
            구조 관련 데이터 분석 및 건축물 유지관리를 수행하였다[그림 3]. 동하중
            에 민감한 고층 구조물의 건전도 모니터링, 인접 모드 식별 기법을 활용한
            정밀 손상감지 기술을 개발하였다.










                                                                  [그림 4] 아크로 서울포레스트 D타워    [그림 5] TMD 설치 시 진동저감효과



















            [그림 3] 고층 구조물 가속도 모니터링을 통한 정밀 모드 분해


            3.2 아크로서울포레스트 디타워 이상진동 원인규명 및 보강대책
             지난 22년 2월 서울 아크로서울포레스트 D타워에는 이상진동 현상이
            발생하여 기사화되는 등 진동관련 문제가 사회적 이슈가 된 사건이 발생하
            였다. 본 연구소에서는 해당 건물의 강제가진 실험 및 상시진동 모니터링               [그림 6] 내진복합패널을 이용한 조적채움벽 보강공법
            을 통해 진동원을 검증하였으며, 진동저감대책으로 TMD를 제시하였다.
            진동원인으로 인간의 율동 등에 의한 수직방향 진동전달 및 바닥판 미세
            국부진동임을 규명하였으며, 수치해석을 통해 TMD를 설치한 경우 미설치
            한 경우보다 가속도는 최대 47.9% 감소함을 확인하였다[그림 4-5].


            3.3 조적채움벽 DB 구축 및 조적채움벽 골조 내진성능평가
             현행기준인 ASCE 41 및 FEMA356, 학교시설 내진성능평가 및 보강 매
            뉴얼에 제시된 조적채움벽골조의 내진성능평가 및 설계 관련 규정을 분석
            하였다. 내진성능상세평가를 위한 비선형 유한요소해석법 모델링관련 기
            술적인 요구사항을 제안하였고, 실무 적용을 위한 PC패널 보강 조적채움
            벽의 등가스트럿 모델을 제안하였다[그림 6, 7].
                                                                  [그림 7] 유한요소해석을 통한 조적채움벽의 하중메커니즘








                                                                한국건축구조기술사회지      Journal of  The Korea  Structural  Engineers Association  69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