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53 - 건축구조 Vol. 29 / No. 03
P. 53
충북대학교 건축공학과 건축구조전공 구조공학연구실
[그림 6] 충북대학교 구조공학연구실의 국내외 다양한 활동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전단거동 및 강도를 이론적으로 평가할 [ 맺음말 ]
수 있도록 하였으며, 이를 슬래브, 벽체, 섬유보강콘크리트, FRP 보강, 부 우리 충북대학교 구조공학연구실의 로고는 푸른색 개선문을 상징한다.
식 및 깊은보로 응용하고 있다(그림 7 참고). 우리 연구실은 모든 구성원이 열정과 긍정적인 사고를 바탕으로 국제무대
최근에는 그림 8에 나타낸 것과 같이 PC 구조물의 강도, 변형능력 및 이 로 나갈 수 있는 교두보가 되기를 위하여 노력하고 있으며, 함께 토론하고
력특성을 Emulative(동등), Semi-emulative(반동등) 및 Non-emulative 교감함으로써 연구원들 사이의 협력을 통해 함께 발전하는 가족적인 분위
(비동등) 구조로 나누어 간략하게 고려할 수 있는 성능기반내진설계법을 기를 가진 연구실이다. 우리는 업계의 기술적 어려움을 경청하고, 실무에
개발하고 있으며, 실험 및 해석을 통해 얻어진 부재 및 접합부의 연성도를 서 필요한 실용적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PC 구조시스템의 반응수정계수로 연결하는 방법론과 PC 부재 간 철근의 교내의 우수한 교육시스템, 내부환경, 그리고 국내외 협력·교류관계을
이음성능을 정량적으로 정의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바탕으로 지도교수와 연구원들의 연구력이 한데 뭉쳐져서 우수한 연구성
과를 이룩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과거 그리고 다가올 미래에 세계물
류 및 철도실크로드의 시작점에서 우리 연구실은 현재의 한계를 넘어 미래
로 도약이 더욱 기대된다.
[ 참고문헌 ]
1. 이득행, “나자르바예프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구조공학연구실,” 한국구
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지, 23권 1호, 2019년 5월, pp. 53-55.
2. 이득행, “유라시아의 심장 그리고 통일시대를 맞이하는 세계인,” 한인
일보, 2020년 3월.
[그림 8] PC 구조물의 성능기반내진설계 3. https://sites.google.com/view/dklee/
한국건축구조기술사회지 Journal of The Korea Structural Engineers Association 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