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50 - 건축구조 Vol. 29 / No. 04
P. 50
기술초대석 | 02
- 건조수축 감소
- 강섬유의 투입량 및 그 특성에 따라 전단 및 휨 내력 등 구조적 성
능 향상
2) 압축 및 휨에서의 물성
- 압축응력에서 일반 콘크리트와 유사한 압축강도를 나타내나 최대
압축응력 이후, 더 연성적인 거동을 나타냄
- 휨인장 균열면을 따라 휨인장 저항력을 갖게 되며 CMOD 실험을
1) SuperDeck 설치 2) 연결근, 배력근 설치
실시하고 그 결과 산정된 잔류휨응력을 설계에 반영할 수 있다.
3) 콘크리트 타설
TR 63 (2007) TR No. 34 (2013)
<그림 2> 층간 슬래브 시공 순서 - 기존공법
[강섬유의 사용사례 및 발전과정]
SuperDeck 설치 후 현장에서 연결근 및 배력근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시기 1960 1980~ 2000~현재
타설하는 순서로 Deck Slab의 시공이 이루어진다.
형상
3. SuperDeck를 이용한 층간 슬래브 시공 - S.B.S.S 인장 900MPa 이하 900~1,100MPa 1,200MPa 이상
강도
비구조재 준구조재 철근대체 주구조재
용도
3
3
3
(20kg/m 내외) (20kg/m 이상) (50kg/m 이상)
터널용 숏크리트 바닥슬래브 휨보강재
SuperDeck 설치 강섬유 혼입 콘크리트 타설
현장
<그림 3> 층간 슬래브 시공 순서 - S.B.S.S 적용 프리캐스트
사례 세그먼트
링크 보
기존 공법과 동일한 부위에 시공 가능하며 SuperDeck 설치 후 필요한
경우 연결근을 설치하고 강섬유 혼입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것으로 시공이
이루어진다.
구조용 SFRC 이방향 슬래
합성슬래브 건조수축 철근배근 전단근 브 : 휨철근 완전 대체
4. Super Bundrex System Slab(S.B.S.S) 개발 용접철근 대용 단순화 일부 대체용 Rocca 빌딩(에스토니아)
4.1 강섬유 보강 콘크리트(Steel Fiber Reinforced Concrete, SFRC) 특성
1) 재료 물성 및 구조적 특성 4.2 강섬유 보강 콘크리트의 응용
- 휨인장 강도 및 연성, 균열제어, 내충격성, 내화성, 동결융해 등에 우수한 균열제어 메커니즘으로 인하여 기존 온도 수축 철근 또는 용접
대한 저항성 철망을 대체하는 대안이 되고 있다. 용접철망 대신 SFRC를 타설함으로써
48 건 축 구 조 2022 _ 07 _ 08 제29권 / 제04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