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24 - 건축구조 Vol. 29 / No. 04
P. 124
추천도서
추/천/도/서
2. 차 례
콘크리트구조물 진단 및 유지관리 제1장 시설물의 유지관리 제8장 구조물의 내진·면진·제진
1.1 유지관리의 도입배경 및 필요성 8.1 서론
1.2 현행 국내시설물 유지관리현황 및 문 8.2 내진·면진·제진의 구분
제점 8.3 내진구조
1.3 시설물 유지관리의 개요 8.4 면진구조
1.4 유지관리 방법 8.5 제진구조
1.5 시설물 안전진단에 따른 관계법령
제정배경 및 주요내용 부록 : 용어설명
1.6 건설기술관리법의 주요내용
1.7 안전점검
1.8 안전등급의 결정
제2장 국내외 구조물 붕괴사고 3. 저자 소개
2.1 건설사고의 의미
2.2 국내 붕괴사고 사례 오 주
2.3 국외 붕괴사고 사례 공학박사 수료(토목구조)
2.4 지진에 의한 구조물의 피해 한국구조물진단연구원 근무
2.5 유지관리 측면에서의 교훈 한국건설품질연구원 근무
제3장 구조물별 주요점검 부위 및 상태평가 현, 유니슨이앤씨 기술연구소 선임연구원
3.1 교량구조물의 안전진단
3.2 건축물의 안전진단 정병열
•저 자 : 오주, 정병열 3.3 화재피해 안전진단 공학박사(건축구조)
•분 야 : 건축공학 3.4 시설물의 성능평가 전, 한국구조물연구소장
3.5 종합성능등급의 결정
•I S B N : 979-11-6225-511-9(93540) 환경관리공단 설계자문위원
•정 가 : 33,000원 제4장 콘크리트의 열화 및 성능저하 광주광역시 재해복구사업사전심의위원회
•면 수 : 520면 4.1 콘크리트의 균열 위원
•판 형 : 4×6배판 4.2 콘크리트 열화 메커니즘 태백관광개발공사 설계자문위원
•발행일 : 2022년 6월 30일 발행 Columbia Southern University,
제5장 구조물별 손상유형 및 발생원인 USA. 자문교수
5.1 토몰구조물(교량) 현, 전남대학교 건축학부 겸임부교수
5.2 건축구조물 성보 건설기술자문 대표
1. 책 소 개 한국산업기술평가원 평가위원/
제6장 철근콘크리트구조물의 비파괴시험 기술개발기획평가단 정위원
콘크리트구조물의 내구성은 설계와 시공에 의하여 결 6.1 서론 한국건설교통기술평가원 신기술심사위원
정되는 것이지만, 실제 내용연수는 사용조건과 유지 6.2 콘크리트구조물의 내구성평가시험 한국부품소재산업진흥원 평가위원
관리에 따라서 크게 좌우된다. 일반적으로 구조물의 6.3 콘크리트구조물의 상태파악조사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평가위원
노화현상은 매우 더디게 진행되지만 일정한 한계 이 6.4 철근탐사시험 광주광역시 자방건설기술심의위원회 위원
후의 단계에서는 기능이 급속히 저하되어 기능 상실 광주광역시북구 안전관리자문단 단장
까지 이어진다. 따라서 건전한 초기단계부터 점검과 제7장 콘크리트구조물의 보수·보강공법 건축분쟁조정위원회 위원
진단을 계획적으로 실시하고, 노화상태에 도달하기 7.1 보수·보강의 목적과 정의 법원 전문심리위원(건설 분야)
이전에 적절한 유지관리를 실시함으로써 시설물 전체 7.2 보수·보강재료 국가중점기술수준평가단 위원
에 대한 내구연한 동안의 수명을 확보해야 한다. 7.3 보수재료의 평가 지식경제기술혁신평가단 위원
7.4 보수·보강공법
본 「콘크리트구조물 진단 및 유지관리」는 건설기술 향 7.5 보수시기의 결정 한국철도시설공단 기술심의위원회 위원
상을 위한 시설물 유지관리체계를 제안한 것이므로 7.6 보수공법 선정 건설산업교육원 교수
시설물의 수명기간 동안 유지관리 길잡이가 되고 더 7.7 보수공법
나아가서는 유지관리에 대한 인식을 보편화하는 데 7.8 보강공법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7.9 내진을 고려한 보수·보강공법
122 건 축 구 조 2022 _ 07 _ 08 제29권 / 제04호